KOSSLAB 컨트리뷰톤 2018 - OpenStack Team 1

KOSSLAB 컨트리뷰톤 2018년도 OpenStack Team 을 진행하면서 1팀 컨트리뷰톤 참여자들이 정리한 문서입니다.

목차

mountainLover

Cafe24에서 받은 서버 설정

서버 사양 확인

Cafe24에서 받은 서버의 사양을 확인 한다.

cat /etc/*-release | uniq                                  #--- OS 이름과 버전 확인
    CentOS release 6.10 (Final)

getconf LONG_BIT                                           #--- OS의 bits 수 확인
    64

cat /proc/cpuinfo                                          #--- CPU 정보 확인
    processor       : 7
    vendor_id       : GenuineIntel
    cpu family      : 6
    model           : 60
    model name      : Intel(R) Xeon(R) CPU E3-1231 v3 @ 3.40GHz
    stepping        : 3
    microcode       : 29
    cpu MHz         : 3399.876
    cache size      : 8192 KB
    physical id     : 0
    siblings        : 8
    core id         : 3
    cpu cores       : 4
    apicid          : 7
    initial apicid  : 7
    fpu             : yes
    fpu_exception   : yes
    cpuid level     : 13
    wp              : yes
    flags           : fpu vme de pse tsc msr pae mce ... 생략 ...
    bogomips        : 6799.75
    clflush size    : 64
    cache_alignment : 64
    address sizes   : 39 bits physical, 48 bits virtual
    power management:

cat /proc/meminfo | grep MemTotal                          #--- Memory 용량 확인
    MemTotal:        8016756 kB

df -h                                                      #--- Disk 용량 확인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sda3       235G   38G  185G  18% /
    tmpfs           3.9G     0  3.9G   0% /dev/shm
    /dev/sda1       200M   91M   98M  49% /boot
    /dev/sdb        917G   72M  871G   1% /data

ip addr list                                               #--- IP 정보 확인
    1: lo: <LOOPBACK,UP,LOWER_UP> mtu 65536 qdisc noqueue state UNKNOWN
        link/loopback 00:00:00:00:00:00 brd 00:00:00:00:00:00
        inet 127.0.0.1/8 scope host lo
        inet6 ::1/128 scope host
           valid_lft forever preferred_lft forever
    2: eth1: <BROADCAST,MULTICAST> mtu 1500 qdisc noop state DOWN qlen 1000
        link/ether 00:25:90:b5:59:13 brd ff:ff:ff:ff:ff:ff
    3: eth0: <BROADCAST,MULTICAST,UP,LOWER_UP> mtu 1500 qdisc mq state UP qlen 1000
        link/ether 00:25:90:b5:59:12 brd ff:ff:ff:ff:ff:ff
        inet 110.10.129.50/25 brd 110.10.129.127 scope global eth0
        inet6 fe80::225:90ff:feb5:5912/64 scope link
           valid_lft forever preferred_lft forever
    4: vboxnet0: <BROADCAST,MULTICAST,UP,LOWER_UP> mtu 1500 qdisc pfifo_fast state UP qlen 1000
        link/ether 0a:00:27:00:00:00 brd ff:ff:ff:ff:ff:ff
        inet 172.28.128.1/24 brd 172.28.128.255 scope global vboxnet0
        inet6 fe80::800:27ff:fe00:0/64 scope link
           valid_lft forever preferred_lft forever

ip route list                                              #--- Route 정보 확인
    110.10.129.0/25 dev eth0  proto kernel  scope link  src 110.10.129.50
    172.28.128.0/24 dev vboxnet0  proto kernel  scope link  src 172.28.128.1
    169.254.0.0/16 dev eth0  scope link  metric 1003
    default via 110.10.129.1 dev eth0
디스크 마운트

주의 : 기존 사용하고 있는 디스크가 포맷되지 않도록 fdisk 명령을 사용하여 새로 추가한 디스크 정보를 확인 한다.

fdisk -l                                                   #--- 마운트할 디스크 정보를 확인 한다.
mkdir /data                                                #--- 마운트할 폴더(디렉토리)를 생성 한다.
mkfs.ext4 /dev/sdb                                         #--- ext4 포맷으로 디스크를 포맷 한다.
mount /dev/sdb /data                                       #--- 디스크를 마운트 한다.

"mount" 명령을 사용하면 서버를 재기동하면 마운트가 해지 됩니다. 서버 재기동시에서 마운트를 유지하고 싶으면 /etc/fstab 파일을 수정 합니다.

단, /etc/fstab 파일을 잘 못 설정하면 서버가 기동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vi /etc/fstab
   /dev/sdb                /data                   ext4    defaults                        1 2

DevStack 설치

Vagrant에서 생성한 Ubuntu에 DevStack을 설치 한다.

사전 준비 사항
  • VirtualBox를 설치 한다.
  • Vagrant를 설치 한다.
  • Vagrant에서 Ubuntu Box를 생성하고 Ubuntu를 기동 한다.
Vagrant의 CentOS VM에서 DevStack 설치

"vagrant ssh" 명령을 사용하여 가상서버에 접속한 후 작업 한다.

sudo yum -y install git

sudo useradd -s /bin/bash -d /opt/stack -m stack
echo "stack ALL=(ALL) NOPASSWD: ALL" | sudo tee /etc/sudoers.d/stack

sudo su - stack
git clone https://git.openstack.org/openstack-dev/devstack
cd devstack
git checkout stable/queens

cp samples/local.conf .
vi local.conf
    HOST_IP=10.0.2.15                                     #--- 맨 아래에 이 라인을 추가 한다.

./stack.sh

서버에서 vagrant에서 생성한 CentOS 가상 서버로의 ssh Tunnel을 생성 한다.

ssh vagrant@127.0.0.1 -p 2222 -L 110.10.129.50:80:127.0.0.1:80 -o IdentityFile="/work/vagrant/CentOS7/.vagrant/machines/default/virtualbox/private_key"
설치가 완료되면 아래 URL로 DevStack에 접속 한다. 단, IP는 자신의 서버 IP를 사용 한다.
http://110.10.129.50:8080/dashboard/auth/login/?next=/dashboard/
Vagrant의 Ubutu VM에서 DevStack 설치

"vagrant ssh" 명령을 사용하여 가상서버에 접속한 후 작업 한다.

sudo useradd -s /bin/bash -d /opt/stack -m stack
echo "stack ALL=(ALL) NOPASSWD: ALL" | sudo tee /etc/sudoers.d/stack

sudo su - stack
git clone https://git.openstack.org/openstack-dev/devstack
cd devstack
git checkout stable/pike

cp samples/local.conf .
vi local.conf
    HOST_IP=10.0.2.15                                     #--- 맨 아래에 이 라인을 추가 한다.

./stack.sh
설치가 완료되면 아래 URL로 DevStack에 접속 한다. 단, IP는 자신의 서버 IP를 사용 한다.
http://110.10.129.50:8080/dashboard/auth/login/?next=/dashboard/
Putty Tunneling

Vagrant를 사용하지 않고 CentOS 7 서버에 직접 DevStack를 설치한 경우 Putty Tunneling을 사용하여 OpenStack 화면에 접속할 수 있다.

  • Putty을 사용하여 DevStack에 접속 한다.
  • 오른쪽 마우스를 누른 후 "설정변경 > 접속 > SSH > 터널링" 메뉴를 선택하여 아래와 같이 설정 한다.
    • 원 포트 :80
    • 대상 : 192.168.56.151:80
  • "추가" 버튼을 선택 한다.
  • "적용" 버튼을 선택 한다.

브라우저에서 http://localhost/dashboard/ 사이트로 접속 한다.

GitHub

CentOS 7에 GitHub 환경 구성

Git을 설치하고 환경을 설정 한다. 자신이 사용하는 이름(user.name)과 이메일(user.email)을 설정하여 사용 한다.

yum -y install git

git config --global user.name "Mountain Lover"
git config --global user.email consult@jopenbusiness.com
git config --global push.default simple

git config --global --list
git config --list

#--- 공인키와 사설키를 생성 한다.
#---     ~/.ssh/id_rsa (사설키), ~/.ssh/id_rsa.pub (공인키)
ssh-keygen -t rsa -b 4096
chmod 600 ~/.ssh/id_rsa
chmod 600 ~/.ssh/id_rsa.pub

생성한 공인키를 GitHub에서 "Settings > SSH and GPG keys"에 등록 합니다.

Clone하여 작업

https://github.com/openstack-kr/contributhon-2018-team1 사이트에서 "Fork" 버튼을 선택하여 자신의 GitHub 계정으로 contributhon-2018-team1를 Fork 한다.

여기의 pnuskgh 대신에 자신의 GitHub 아이디를 사용 한다.

mkdir -p /work/devstack
cd /work/devstack
git clone git@github.com:pnuskgh/contributhon-2018-team1.git
cd contributhon-2018-team1
vim .gitignore
    /.gitignore
    *.swp

#--- 파일 추가
vim 새파일_이름
cd /work/devstack/contributhon-2018-team1
git add *
git commit
git push

#--- 파일 이름 변경
git mv 원본_파일 새이름_파일
cd /work/devstack/contributhon-2018-team1
git add *
git commit
git push

#--- 파일 삭제
git rm 파일_이름
cd /work/devstack/contributhon-2018-team1
git add *
git commit
git push
원격 저장소 추가 관리

원본 저장소(https://github.com/openstack-kr/contributhon-2018-team1)를 Fork하여 개인 저장소(https://github.com/pnuskgh/contributhon-2018-team1)를 만들어서 관리를 하면 몇가지 문제가 발생 한다.

원본 저장소에 변경 사항이 발생하면 그 변경 사항이 개인 저장소에 반영이 되지 않는 문제 이다. 이는 원격 저장소를 추가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원격저장소 이름은 upstream을 사용하나 여기서는 OpenStack을 사용하겠다.

cd /work/devstack/contributhon-2018-team1
git remote add OpenStack git@github.com:openstack-kr/contributhon-2018-team1.git
git remote -v                                              #--- 저의 경우 아래와 같이 표시 됩니다.
    OpenStack       git@github.com:openstack-kr/contributhon-2018-team1.git (fetch)
    OpenStack       git@github.com:openstack-kr/contributhon-2018-team1.git (push)
    origin  git@github.com:pnuskgh/contributhon-2018-team1.git (fetch)
    origin  git@github.com:pnuskgh/contributhon-2018-team1.git (push)

git pull OpenStack master                                  #--- OpenStack 저장소의 master branch를 가져 온다.

git add *
git commit
git push origin master                                     #--- origin 저장소의 master에 변경 사항을 반영 한다.
새로운 브랜치를 만들어서 배포
git checkout master
git branch -b obcon201809001                               #--- Local에 obcon201809001 branch를 생성 한다.
#--- 여기서 수정 작업을 한다.
git add *
git commit
git push --set-upstream origin obcon201809001              #--- Local에만 있는 branch를 push할 때 --set-upstream을 사용 한다.
#--- Git Hub 사이트에서 Pull Request를 생성할 수 있다.
충돌 발생시 처리 방법
여러 리포지토리를 사용하거나 하나의 파일을 여러 사람이 수정하는 경우 충돌이 발생 한다. 이 경우 충돌이
발생한 파일을 수작업으로 수정하여야 한다.

아래의 코드는 충돌 사례와 처리 방법 이다.

git pull OpenStack master                                 #--- Pull 명령시 3개의 파일에서 충돌 발생
    remote: Counting objects: 40, done.
    remote: Compressing objects: 100% (20/20), done.
    remote: Total 40 (delta 15), reused 40 (delta 15), pack-reused 0
    Unpacking objects: 100% (40/40), done.
    From github.com:openstack-kr/contributhon-2018-team1
     * branch            master     -> FETCH_HEAD
    Auto-merging Vagrant/Vagrant.rst
    CONFLICT (add/add): Merge conflict in Vagrant/Vagrant.rst
    Auto-merging GitHub/GitHub.rst
    CONFLICT (add/add): Merge conflict in GitHub/GitHub.rst
    Auto-merging DevStack/install.rst
    CONFLICT (add/add): Merge conflict in DevStack/install.rst
    Automatic merge failed; fix conflicts and then commit the result.

vi Vagrant/Vagrant.rst GitHub/GitHub.rst DevStack/install.rst   #--- 충돌이 발생한 파일을 수작업으로 최종본으로 수정

cd /work/devstack/contributhon-2018-team1
git add *
git commit
git push                                                   #--- 최종 수정본을 리포지토리에 반영

Sphinx용 설치

Sphinx를 설치할 CentOS 7 box를 생성
mkdir -p /work/vagrant/Sphinx
cd /work/vagrant/Sphinx

vi Vagrantfile
    Vagrant.configure("2") do |config|
      config.vm.box = "centos/7"
      config.vm.network "forwarded_port", guest: 80, host: 8080
      config.vm.provider "virtualbox" do |vb|
          vb.name = "CentOS7_Sphinx"
          vb.memory = "1024"
          vb.cpus = "1"
      end
    end
vagrant init                                               #--- Vagrantfile로부터 생성되는 환경 초기화
vagrant box list
vagrant up                                                 #--- 가상 서버를 기동
Sphinx를 Vagrant 가상 서버에 설치

"vagrant ssh" 명령을 사용하여 가상서버에 접속한 후 작업 한다. Nginx는 테스트를 위한 웹서버로 상세 설정없이 그냥 설치 한다.

sudo yum -y install epel-relase
sudo yum -y install nginx nginx-*                          #--- Nginx 설치
sudo systemctl restart nginx.service
sudo systemctl enable nginx.service
sudo systemctl disable firewalld.service
sudo systemctl stop firewalld.service

sudu yum -y install python-sphinx python-sphinx-doc        #--- Sphinx 설치
sphinx-quickstart 명령으로 Sphinx 폴더 생성

테스트를 위해 sphinx-quickstart 명령을 사용하여 Sphinx 폴더를 생성 한다. sphinx-quickstart 실행시 설정값은 대부분 디폴트 값을 사용 한다.

cd /usr/share/nginx/html
sudo mkdir sphinx
cd /usr/share/nginx/html/sphinx
sudo sphinx-quickstart
    Welcome to the Sphinx 1.1.3 quickstart utility.

    Please enter values for the following settings (just press Enter to
    accept a default value, if one is given in brackets).

    Enter the root path for documentation.
    > Root path for the documentation [.]:

    You have two options for placing the build directory for Sphinx output.
    Either, you use a directory "_build" within the root path, or you separate
    "source" and "build" directories within the root path.
    > Separate source and build directories (y/N) [n]:

    Inside the root directory, two more directories will be created; "_templates"
    for custom HTML templates and "_static" for custom stylesheets and other static
    files. You can enter another prefix (such as ".") to replace the underscore.
    > Name prefix for templates and static dir [_]:

    The project name will occur in several places in the built documentation.
    > Project name: Shpinx
    > Author name(s): Mountain Lover

    Sphinx has the notion of a "version" and a "release" for the
    software. Each version can have multiple releases. For example, for
    Python the version is something like 2.5 or 3.0, while the release is
    something like 2.5.1 or 3.0a1.  If you don't need this dual structure,
    just set both to the same value.
    > Project version: 0.00.001
    > Project release [0.00.001]:

    The file name suffix for source files. Commonly, this is either ".txt"
    or ".rst".  Only files with this suffix are considered documents.
    > Source file suffix [.rst]:

    One document is special in that it is considered the top node of the
    "contents tree", that is, it is the root of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documents. Normally, this is "index", but if your "index"
    document is a custom template, you can also set this to another filename.
    > Name of your master document (without suffix) [index]:

    Sphinx can also add configuration for epub output:
    > Do you want to use the epub builder (y/N) [n]:

    Please indicate if you want to use one of the following Sphinx extensions:
    > autodoc: automatically insert docstrings from modules (y/N) [n]:
    > doctest: automatically test code snippets in doctest blocks (y/N) [n]:
    > intersphinx: link between Sphinx documentation of different projects (y/N) [n]:
    > todo: write "todo" entries that can be shown or hidden on build (y/N) [n]:
    > coverage: checks for documentation coverage (y/N) [n]:
    > pngmath: include math, rendered as PNG images (y/N) [n]:
    > mathjax: include math, rendered in the browser by MathJax (y/N) [n]:
    > ifconfig: conditional inclusion of content based on config values (y/N) [n]:
    > viewcode: include links to the source code of documented Python objects (y/N) [n]:

    A Makefile and a Windows command file can be generated for you so that you
    only have to run e.g. `make html' instead of invoking sphinx-build
    directly.
    > Create Makefile? (Y/n) [y]:
    > Create Windows command file? (Y/n) [y]:

    Creating file ./conf.py.
    Creating file ./index.rst.
    Creating file ./Makefile.
    Creating file ./make.bat.

    Finished: An initial directory structure has been created.

    You should now populate your master file ./index.rst and create other documentation
    source files. Use the Makefile to build the docs, like so:
       make builder
    where "builder" is one of the supported builders, e.g. html, latex or linkcheck.
sudo make html                                             #--- html 파일 생성

설치 완료 후 아래 URL로 접속 한다. 단, IP는 자신이 가진 서버의 IP를 사용 한다.

http://110.10.129.50:8080/sphinx/_build/html/index.html

Vagrant

Vagrant는 간소화된 가상머신(VM, Virtual Machine) 관리 서비스 이다.

CentOS6에 VirtualBox 설치

Vagrant에서 사용할 VirtualBox를 설치 합니다

wget -O /etc/yum.repos.d/virtualbox.repo http://download.virtualbox.org/virtualbox/rpm/rhel/virtualbox.repo
yum install VirtualBox-5.2

virtualbox -help
CentOS6에 Vagrant 설치
rpm -ivh https://releases.hashicorp.com/vagrant/2.1.4/vagrant_2.1.4_x86_64.rpm
vagrant plugin install vagrant-disksize

vagrant -v
    Vagrant 2.1.4
CentOS 7 box 생성

CentOS 7 설치를 위한 Vagrantfile을 작성한 후 box를 생성 한다.

mkdir -p /work/vagrant/CentOS7
cd /work/vagrant/CentOS7

vi Vagrantfile
   Vagrant.configure("2") do |config|
     config.vm.box = "centos/7"
     config.disksize.size = '100GB'
     config.vm.provider "virtualbox" do |vb|
       vb.name = "CentOS7"
       vb.memory = "4096"
       vb.cpus = "4"
     end
   end
vagrant init                                               #--- Vagrantfile로부터 생성되는 환경 초기화
vagrant box list                                           #--- Vagrant Box 목록 조회
Ubuntu 18.04.1 LTS box 생성

Ubuntu 18.04.1 LTS 설치를 위한 Vagrantfile을 작성한 후 box를 생성 한다.

mkdir -p /work/vagrant/Ubuntu18
cd /work/vagrant/Ubuntu18

vi Vagrantfile
   Vagrant.configure("2") do |config|
     config.vm.box = "ubuntu/xenial64"
     config.vm.network "forwarded_port", guest: 80, host: 8080
     config.vm.provider "virtualbox" do |vb|
       vb.name = "Ubuntu18"
       vb.memory = "6144"
       vb.cpus = "6"
     end
   end
vagrant init                                               #--- Vagrantfile로부터 생성되는 환경 초기화
vagrant box list                                           #--- Vagrant Box 목록 조회
VM 관리
vagrant up                                                 #--- startup
vagrant reload                                             #--- 변경된 Vagrantfile 적용 (shutdown & startup)
vagrant halt                                               #--- shutdown
vagrant destroy -f                                         #--- shutdown & destroy

vagrant status                                             #--- 상태 조회
vagrant suspend                                            #--- VM 멈춤
vagrant resume                                             #--- 멈춘 VM 다시 시작

#--- ssh 127.0.0.1:2222, vagrant / vagrant
#---    port는 vagrant up시 표시되는 메시지에서 확인할 것
vagrant ssh                                                #--- VM에 ssh로 접속
Snapshot 관리
vagrant snapshot push                                      #--- 환경 저장
vagrant ssh                                                #--- 환경 저장 후 여러가지 작업을 한다.
vagrant snapshot pop                                       #--- 저장(push)된 환경으로 복구

vagrant snapshot save ${name}                              #--- Snapshot 생성
vagrant snapshot restore ${name}                           #--- Snapshot으로 복구
vagrant snapshot list                                      #--- Snapshot 목록 조회
vagrant snapshot delete ${name}                            #--- Snapshot을 삭제
Vagrant 주요 폴더
  • /root/.vagrant.d/
    • boxes/ : Vagrant Box 폴더
  • /root/VirtualBox VMs/ : VirtualBox의 VM이 저장된 폴더

ardentpark

Contributhon 2018 OpenStack Team Meeting Overview

컨트리뷰톤 2018 오픈스택 팀 회의 현황 [*]
일자 장소 개요
8/16 코엑스
  • 컨트리뷰톤 시작
  • OpenStack, 커뮤니티, 멘토, 참가자 소개
  • Contribute 관련 계정 등록, 연결
  • github, slack, etherpad, openstack, launchpad gerrit, zanata 등
8/31 KOSSLAB
  • 서버 할당, 관리방법 안내
  • Open Source Contribute 과정 소개
  • Vagrant, VirtualBox 사용법 학습
  • DevStack 구축
9/6 TOZ 강남
  • Github에서의 pull request 과정 학습
  • OpenStack에서의 Contribute 과정 학습
  • Gerrit을 이용한 Code Review
  • LaunchPad를 이용한 Bug Report
  • OpenStack의 sandbox에서 contribute를 연습하는 과정 학습
  • DevStack의 horizon에서 싱글 노드 대상으로 VM과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과정 학습
9/14 KOSSLAB
  • OpenStack에서 Zanata를 이용한 번역이 이루어지는 과정 학습
  • Python 프로젝트 관련 virtualenv, tox 등의 빌드 환경 소개
  • 빌드 : virtualenv, tox
  • 문서화 : Rst, Sphinx
  • OpenStack I18N과 관련 추진 프로젝트 (번역, pdf 번역 툴 등) 소개
  • DevStack에서 멀티 노드 대상으로 VM과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과정 학습
  • 컨트리뷰톤 프로젝트 주제 선정 및 팀 분할 논의
9/20 KOSSLAB
  • 번역, API 팀 탐구 내용 발표
  • 팀별 프로젝트 논의
회의 내용 및 링크
[20180816] 1차 모임
  • OpenStack 설치 with DevStack
[20180906] 3차 모임
[20180914] 4차 모임
[20180920] 5차 모임

[*]2018년 9월 30일 기준

OpenStack 정리

Contributhon I18N Project

주요 추진 내용

주요 번역 내용

  • Early Bird Projects : horizon, openstack-ansible, 그리고 openstack-helm에 대한 문서 한글화
  • White Paper : OpenStack과 직접적인 연관은 없기에 번역 기여로 인정은 안하고 있었지만 White Paper 번역에 대해서도 부분 인정할 예정
  • Dashboard : 주요 Component 별 Dashboard 및 UI, horizon, zaqar 한글화
  • Documentation : api-site, openstack-manuals, security-doc, trainin-guides 에 대한 문서 한글화
  • Storyboard 번역 : launchpad에서 스토리보드로 migrate하며 Storyboard의 dashboard, ui에 대한 번역이 필요, Storyboard 웹페이지와 Storyboard 내 프로젝트들의 번역 고려
  • 번역 툴 개발 : rst 포맷으로 작성된 웹 상의 OpenStack 설명서들을 pdf 문서로 빌드하여 제공(한글 문서 포함)할 수 있도록 하는 문서화 툴 개발
  • 비영문 문서의 영문 문서화 : openstack-helm에 관한 한국 팀에서의 한글 문서를 영문 문서로 번역하는 파일럿 프로젝트를 추진 고려
팀 구성
멘토
  • 최영락
  • 강성진
팀원
  • Team 1
  • 김계현
  • 박순렬
  • 이도건
  • 조재호
  • Team 2
  • 임동빈
  • 최성욱

Contributed by ardentpark

About Contributor
Name:Soonyeul Park (박순렬)
Email:ardentpark@gmail.com (ardentpark@naver.com)
GitHub:ardentpark (ardentpark@outlook.com)
Translation

번역 현황 [*]

Progress
프로젝트 문서 기여도 [†] 비고
openstack-helm (master)
doc/source/locale/doc
doc/source/locale/
doc/source/locale/ doc-install doc-devref
doc/source/locale/ doc-testing
doc/source/locale/ doc-troubleshooting
81.44%
100%
62.7%
59.13%
100%
완료
완료


완료
horizon(master)
horizon/locale/ djangojs
openstack_auth/ locale/django
openstack_dashboard/ locale/django
openstack_dashboard/ locale/djangojs
doc/source/locale/ doc-install
1.47%
1.56%
0.62%
2.71%
100%
완료
완료
완료
완료
완료
leveraging-containers -and-openstack(paper) leveraging-containers -and-openstack 6.72% White Paper
designate-dashboard (master) releasenotes/source/ locale/releasenotes 9.09% 완료
neutron-lbaas -dashboard(master) neutron_lbaas_dashboard/ locale/djangojs 0.35% 완료
i18n(master) doc 3.28% 완료
trove-dashboard (master) releasenotes/source/ locale/releasenotes 38.86% 완료
Log
Format:[번역 일자] [번역 내용] [번역 집계] [‡]
20180920 openstack-helm(master)/doc/source/locale/doc 327
20180921 openstack-helm(master)/doc/source/locale/doc 599
20180921 Horizon(master)/Openstack_auth/locale/django 2
20180921 Horizon(master)/Openstack_dashboard/locale/django 82
20180922 openstack-helm(master)/doc-devref 922
20180922 Horizon(master)/horizon/locale/djangojs 8
20180922 Horizon(master)/Openstack_dashboard/locale/djangojs 165
20180922 leveraging-containers-and-openstack(paper)/
leveraging-containers-and-openstack 101
20180922 designate-dashboard(master)/
releasenotes/source/locale/releasenotes 4
20180922 neutron-lbaas-dashboard(master)/
neutron_lbaas_dashboard/locale/djangojs 5
20180923 openstack-helm(master)/doc/source/locale/doc-testing 305
20180923 i18n(master)/doc 221
20180923 trove-dashboard(master)/releasenotes/source/locale/releasenotes 89
20180924 openstack-helm(master)/doc/source/locale/doc-devref 175
20180925 openstack-helm(master)/doc/source/locale/doc-devref 1324
20180926 openstack-helm(master)/doc/source/locale/doc-devref 806
20180926 openstack-helm(master)/doc/source/locale/doc-troubleshooting 442
20180926 i18n(master)/doc 36
20180927 horizon(master)/doc/source/locale/doc-install 821
20180929 leveraging-containers-and-openstack(paper)/
leveraging-containers-and-openstack 278
20180929 openstack-helm(master)/doc/source/locale/doc-testing 812
20181001 horizon(master)/doc/source/locale/doc-install 265
20181001 openstack-helm(master)/doc/source/locale/doc-install 412
20181004 horizon(master)/doc/source/locale/doc-install 659
20181004 openstack-helm(master)/doc/source/locale/doc-install 1190

[*]2018년 10월 4일 기준
[†](번역 단어 수 / 총 단어 수) * 100
[‡]yyyyMMdd 프로젝트/문서 단어수

컨트리뷰톤 및 오픈스택 관련 주요 링크

Contributhon
  • Team1
Repository:GitHub (Team1)
Documentation:Read the Docs (Team1)
  • Team2
Repository:GitHub (Team2)
Documentation:Read the Docs (Team2)
OpenStack

[1]Slack 가입 신청 URL(http://openstack-checkin.herokuapp.com/), 가입 승인 후에 Slack 참여 가능
[2]OpenStack 국제화 프로젝트 가이드
[3]I18N 한국 번역 팀
[4]번역 단어집
[5]발표 자료 (+ http://slideshare.net/ianychoi/)
[6]API 가이드 URL (https://developer.openstack.org/ko_KR/api-guide/quick-start/)
[7]Zanata
[8]Gerrit, openstack-dev/sandbox URL (https://review.openstack.org/#/admin/projects/openstack-dev/sandbox/)
[9]StoryBoard
[10]Git Mirror
[11]LaunchPad

bnitech

[컨트리뷰톤 2018] 오픈스택 2팀: 사전 오프 모임 (8/31 금, 저녁 7시) 내용

카페24 서버 확인
  • 서비스 사용현황 * 1.234.**.*** * 서버 임시정보 확인

    • 계정 * root
    • IPMI 계정 * b******
    • 임시 비밀번호 * a*******

    Varant로 설치

  • 언제든지 부시고 재설치 할수 있는 환경

    • 가상환경을 만들어서 오픈스택을 설치한다.
    • 그럼 버리고 다시 생성하기 쉬워진다.
  • 가상환경을 코드로 관리할 수 있게 해준다.

  • VM을 여러개 만들어서 테스트용을 따로 가진다.

오픈스택 설치
깃허브 운영

swift

Devtack-Swift-install

Devstack 기반의 Swift install Guide 문서이다.

Devstack Install문서를 참고하여 작성함

Prerequisites
  • DevStack setup requires to have 1 VM/ BM machine with internet connectivity.
  • Devstack은 현재 Ubuntu16.04 및 CentOS 7을 지원하며, Devstack은 공식적으로 Ubuntu16.04를 권장함에 따라 Ubuntu16.04 설치함.
  • Install Git
apt-get install git
  • Installing python-systemd package on Ubuntu 16.04
sudo apt-get install -y python-systemd
  • Need to update package source information for Ubuntu Basic Package installation
sudo cp /etc/apt/sources.list /etc/apt/sources.list.bak
sudo sed 's/kr.archive.ubuntu.com/mirror.kakao.com/g' /etc/apt/sources.list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upgrade
Add stack User
sudo useradd -s /bin/bash -d /opt/stack -m stack
  • stack 사용자는 시스템을 많이 변경하므로 sudo 권한이 꼭 필요함(sudo 명령어에 따른 password를 묻지 않도록 설정)
echo "stack ALL=(ALL) NOPASSWD: ALL" | sudo tee /etc/sudoers.d/stack
sudo su - stack
Download DevStack
git clone https://git.openstack.org/openstack-dev/devstack
cd ./devstack
Devstack configuration file
cp ./samples/local.conf .
vi local.conf
Devstack SAIO configuration file setup
   [[local|localrc]]
   HOST_IP=10.1.0.6
   FLAT_INTERFACE=eth0
   ADMIN_PASSWORD=secret
   DATABASE_PASSWORD=$ADMIN_PASSWORD
   RABBIT_PASSWORD=$ADMIN_PASSWORD
   SERVICE_PASSWORD=$ADMIN_PASSWORD
   enable_service s-proxy s-object s-container s-account
   SWIFT_REPLICAS=1
   SWIFT_HASH=66a3d6b56c1f479c8b4e70ab5c2000f5
   enable_service h-eng h-api h-api-cfn h-api-cw
   enable_plugin heat git://git.openstack.org/openstack/heat
   FLOATING_RANGE=192.168.42.128/25

* Set FLAT_INTERFACE to the Ethernet interface that connects the host to your local network.
  This is the interface that should be configured with the static IP address mentioned above.
* Set FLOATING_RANGE to a range not used on the local network. ex) 192.168.42.128/25
  This configures IP addresses ending in 225-254 to be used as floating IPs.
* Set SWIFT_REPLICAS to every object in Swift is replicated across different devices and nodes
Devstack SAIO installation start
./stack.sh
Devstack SAIO start complete Report
=========================
DevStack Component Timing
(times are in seconds)
=========================
run_process           37
test_with_retry        3
apt-get-update        10
pip_install          500
osc                  243
wait_for_service      32
git_timed            328
dbsync                65
apt-get              367
-------------------------
Unaccounted time     599
=========================
=========================
Total runtime        2184

Horizon is now available at http://localhost/dashboard

Keystone is serving at http://localhost/identity/

The default users are
  • User : Admin and demo
  • The password: secret
Alternative text
Login 성공 후 화면
Alternative text
오브젝트 스토리지 컨테이너 생성 완료화면
    • 컨테이너 Btn을 Click하여 신규 컨테이너 생성
  • 컨테이너 생성 후 이름 SwiftObject
  • Public Access : CheckBox "Select"
Alternative text
오브젝트 스토리지 명 "SwiftObjct"에 폴더 생성 또는 파일 업로드
  • 화면 중간에 업로드 아이콘을 이용 파일 업로드
  • 폴더 추가 아이콘을을 이용 폴더 추가
Alternative text Alternative text
SwiftObjct - AppDevelopmentOpenStackSwiftStorage.pdf 파일 업로드 완료
Alternative text
PC Web Browser 파일 다운로드 및 확인
Alternative text
Devstack VM Instance에서 파일 다운로드 및 확인
Alternative text

이 문서에서 검색